티스토리 뷰
사교육, 학교 밖에서의 교육을 논하자면 아마 대한민국을 따라올 나라가 있을까 싶습니다.
그 정도로 우리나라는 사교육비가 경제의 한 축을 차지할 정도로 거대하고, 그 체제가 확고부동하게 자리를 잡은 상태입니다.
언제나 다름 사람들과 비교하고, 다른 사람보다 더 잘 살아야 된다는 비교 의식이라는 게 참 안타깝기만 하네요.
어쨌든 여기에서는 우리나라 사교육비를 통계청에서 2014년도에 조사한 자료를 대략적으로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일단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의 경우 24만2천원으로 전년도보다 1.1%정도 올랐다는군요.
뭐, 물가가 심심하면 오르는 마당에 사교육비가 안 오를 리가 없겠지요.
사교육 참여율은 68.6%, 사교육 참여시간은 주당 5.8시간이라고 합니다.
재미있게도 중학교의 사교육비가 가장 높고, 사교육 참여율은 초등학생이 가장 높습니다.
초등학생은 학교가 빨리 끝나기 때문에 그리고 집에 오면 동네에 친구가 없기 때문에 다시 친구를 만나러 학원에 간다는 말이 있지요.
과목별 사교육비에서 영어가 수학보다 금액이 높은 건 그만큼 외국어가 더 중요해진 시대이기 때문일까요?
어학연수의 참여율은 0.6%라고 하는데요, 그렇다는 건 학생 1000명당 6명은 해외로 어학연수를 다녀온다는 얘기겠네요.
166명 중 1명이니까 한 4개 학급 중 한명은 해외 경험을 하고 오겠네요.
다만 그건 평균적인 자료일 뿐 실질적으로는 학군이 좋은 곳에서 더 높은 비율로 어학연수를 다녀오겠죠.
우리나라 사교육비 총액은 약 18조 2천억원이라고 하는데요, 이게 대체 어느정도의 규모인지는 모르겠습니다.
희안한 사실 하나는 사교육 참여율은 지속적으로 조금씩 감소하고 있지만, 오히려 월평균 사교육비는 2009년까지 한참 올랐다가 현상 유지가 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는 건 그만큼 사교육비가 많이 올랐다는 얘기일까요?
재미있는 점이 또 하나 있네요.
위 자료는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인데요, 보시면 학원수강이 12만원으로 가장 높습니다.
그리고 개인과외가 3만원, 그룹과외가 2만원 밖에 안 한다고 합니다ㅋㅋㅋ
세상에 고등학생 과외 비용하면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알텐데 평균 5만원이란 게 말이나 되는 얘기일까요?
이런 자료를 따지고 봤을 때 우리나라 사교육비는 훨씬 높은 액수를 차지하고 있을 것 같습니다.
아마도 고등학생 과외비만 고려해도 전체금액의 10~20%는 더 올라가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사교육 참여학생 중 월평균 50만원 이상 지출한 학생 비중이 가장 많다고 합니다.
그럼 학생이 2명 있을 경우 한 가정에서 100만원 이상이 사교육비로 빠져나간다는 얘기겠네요.
참 우리나라 사교육비가 많이 무섭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건스탠리의 2016년 유망주식 (0) | 2015.12.24 |
---|---|
파리협약과 연관있는 전기차 관련주 모음 (0) | 2015.12.16 |
대한민국 인구유입지역은 어디? (0) | 2015.11.24 |
역시 증권사들의 브라질 국채, 중국 투자도 믿을바가 못 되었군요 (0) | 2015.11.23 |
저금리 시대에 오히려 더 늘어난 저축률 (0) | 2015.10.26 |
- 우기
- 우도여행
- 몰디브 리조트
- 리프트권 가격
- 연봉
- 사이판 항공권
- 세부5성급호텔
- 항공권
- 공모주
- 인도네시아
- 해외여행
- 전월실적필요없는카드
- 날씨
- 라오스비행기표
- 푸켓
- 비행기값
- 땡처리항공권
- 태국패키지여행
- 가격
- 국민은행
- 건기
- 할인
- 등유난로
- 주가
- 캠핑난로
- 신한카드
- 호텔
- 제주도 여행
- 평균기온
- 수요예측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