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가족이 여행을 떠났던 2014년 초만 하더라도 330을 곱해야 했었는데, 지금은 280을 곱하면 된다니... 약 15%정도 환율이 떨어졌으니 그만큼 물가가 저렴해졌다고 봐도 무관하려나? 요새 여행 계획을 중국 여행에서 다시 동남아에서 쉬는 것으로 바꾸려고 마음을 먹고 있다. 중국 겨울 여행을 하면 비수기라서 입장료 싸고, 사람도 적어서 애들 끌고 다니기에 편할 것 같은데 가장 걸림돌이 되는 건 바로 추위! 구채구든, 장가계든 겨울에는 눈이 내린다고 하고, 또 일부 관광지는 못 들어가거나 하는 점도 있어서 겨울이라고 마냥 좋은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추운 날씨를 싫어하는 나로선 사람이 없다는 매리트보다 춥다는 데에 무게가 더 기운다. 어쨌든 그래서 다시 말레이시아나 태국 같은 곳에 가서 ..
우리나라의 매서운 겨울 날씨에서 벗어나기 위한 좋은 수단으로 태국과 같은 동남아에서 한달 살기, 두달 살기를 해보는 것이 있다. 특히 태국 방콕과 같은 경우 이게 굉장히 수월한데, 첫 째, 무비자로 장기 체류가 가능하다. 한국인은 현재 무비자로 최대 90일까지 체류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로 비자를 발급받아야 한다거나, 비자를 연장해야 된다든가 하는 비용 문제가 해결된다. 말레이시아 역시 무비자로 90일 체류가 가능해서 일단 이 두 나라가 가장 매력적이다. 다만 말레이시아는 한달 살기 콘도를 구하기가 쉽지 않은데, 태국 방콕 쪽으로는 한인이 운영하는 콘도가 많아서 놀이터 있고, 수영장 있고, 헬스클럽 있는 콘도에서 편안 하게 한 달 살기를 즐길 수 있다. 가격은 대체로 한 달에 100만원 정도 하며, 조금..
중국 여행에 있어 항공권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비자다. 그도 그럴 것이 항공권을 예약한다 한들 비자가 없으면 입국이 불가능한데 비행기표가 무슨 소용이겠는가. 아직 대한민국과 중국은 무비자 체류 협정이 맺어지지 않아서 관광이든 유학이든 무조건 비자를 발급받아야 한다. 만약 중국을 경유지로 이동할 경우에는 3박4일인가 무비자 발급하는 게 있지만 경유지가 아닌 이상에야 그런 비자를 발급받을 수 없으며, 무엇보다 한 달 이상 길게 여행할 거니 당연히 최대한 긴 비자를 발급받아야 한다. 중국에서 여행을 위한 관광비자의 종류는 크게 네 종류가 있다. 1. 별지 28일 비자 2. 단수 L 30일 비자 3. 단수 L 90일 비자 4. 더블 비자(30일 이하 + 6개월 이내 2회 사용) 현재 중국대사관에서 개인의 비..
칭다오(청도)에 도착하면 상하이(상해)까지 바로 내려갈 생각인데 이걸 버스로 가야 할지, 열차로 가야할지는 고민을 해봐야 될 것 같다. 먼저 버스의 경우 야간 침대버스도 존재한다. 요금은 237위안. 상해에서 저녁 8시에 출발해 칭다오에 아침 9시에 도착한다는데 그 반대도 있겠지~ 그렇다는 건 버스로는 대략 12시간 정도 소요된다는 것이다. 아마 주간 버스를 타면 더 많이 정차해야 하니 14시간 정도 걸리지 않을까. http://blog.naver.com/cbs1905/220443757763 그런데 상태를 보니... 그다지 애들 데리고 탈만한 환경은 안 될 것 같다. 예전에 타보기는 했지만 그건 유학생의 신분으로나 가능한 것이고, 이 야간 침대버스를 4살, 5살짜리 애들 데리고 탄다는 건 조금 무리일 듯..
- 제주도 여행
- 우기
- 라오스비행기표
- 주가
- 몰디브 리조트
- 연봉
- 신한카드
- 국민은행
- 항공권
- 해외여행
- 가격
- 땡처리항공권
- 인도네시아
- 사이판 항공권
- 세부5성급호텔
- 호텔
- 우도여행
- 푸켓
- 수요예측
- 건기
- 등유난로
- 전월실적필요없는카드
- 리프트권 가격
- 날씨
- 캠핑난로
- 평균기온
- 할인
- 태국패키지여행
- 비행기값
- 공모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